모두로법률사무소
Home > 제소전화해 > 제소전화해 사례분석
 
강행법규에 반하는 제소전화해의 효력
 날짜 : 2013-11-27  조회 : 2,144  
강행법규에 반하는 제소전화해의 효력
 
[질문]

저는 프랜차이즈 상점을 해보려고 임대할 점포를 구하는 중입니다. 맘에 드는 곳을 한 곳 구했는데 임대인이 계약기간을 2년으로 하자고 합니다.「상가임대차보호법」상 계약기간을 5년까지 연장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 그냥 2년으로 계약을 할까 했는데, 임대인이 임대기간이 끝나고 나서 자기가 비워 달라고 하면 언제든지 비운다는 조건으로 제소전화해를 신청하자고 해서 고민입니다. 임대인이 비우라고 할때 당장 비운다는 내용으로 제소전화해를 하게 되면 제가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하더라도  5년 계약기간을 보장받을 수 없는지요? 

 
[답변]
 
현재 제소전화해는 이미 현존하는 ‘민사상의 다툼’의 해결보다도 이미 당사자 간에 성립된 다툼없는 계약 내용을 조서에 기재하여 재판상화해를 성립시키기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한편「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상가건물 임대차 계약에 있어서 경제적인 약자인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법의 취지상 ‘편면적인 강행규정’으로 규정하여 위 법에 위반하여 임차인에게 불리하게 체결한 약정은 무효로 하고 있습니다(같은 법 제15조). 또한, 같은 법 제10조 제1항은 “임대인은 임차인이 임대차기간 만료전 6월부터 1월까지 사이에 행하는 계약갱신 요구에 대하여 정당한 사유없이 이를 거절하지 못한다.”라 고 규정하고 있고, 이 경우 임대인은 종전기간을 합산하여 ‘5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계약기간을 인정해줘야 하고, 이러한 계약갱신요구권을 인정하지 않기로 당사자간에 합의하였더라도 이는 경제적 약자인 임차인을 심하게 불리하게 하는 것으로 그런 합의는 분명 ‘무효’라 할 것입니다.
 
따라서 법원에서도 제소전 화해 신청서상의 내용이 위와같은 강행법규에 위반되는 사항일 경우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를 확인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 보정을 요구하여 법규에 위반되지 않도록 수정하여야 화해조서가 성립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강행법규에 위반되는 약정이더라도 일단 화해조서로 성립하게 되면 그 약정의 효력을 인정할 것인가가 문제됩니다.
 
이에 대해 판례는 “(구)민사소송법 제206조 소정의 재판상의 화해가 성립되면 가령 그 내용이 강행법규에 위배된 경우라 하더라도 그것이 단지 재판상화해에 하자가 있음에 지나지 아니하여 재심의 절차에 의하여 구제받는 것은 별문제로 하고 그 화해조서를 무효라고 주장할 수는 없는 것이며 이 법리는 (구)민사소송법 제355조에 의한 화해(제소전화해)에 관하여서도 같다.”라고 판시하여 강행법규에 반하는 제조전화해조서의 효력을 인정하고 있는바(대법원 1987. 10. 13. 선고 86다카2275판결 참조), 위 판례의 취지상「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의 계약 갱신요구권을 포기하는 내용의 제소전화해 조서도 그대로 유효하게 성립한다고 해석될 여지가 많다고 할 것입니다
 
◇위 글은 대한법률구조공단의 상담사례를 참조하여 재구성한 것입니다.
  

 
   
 

 
변호사소개 |  무료상담 |  찾아오시는길 |  개인정보취급방침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594,2층(논현동, 대림빌딩) 모두로법률사무소 | 사업자등록번호 : 214-12-19697 | 대표자명 : 한대섭
대표전화 : 02-594-7771 / 회생파산 : 02-593-0530 | 팩스 : 02-594-7016
고객센터 업무시간 - 평일:월~금 10:00~18:00 / 토,일,공휴일 휴무
Copyright 2013 MODULAW  관리자
인터넷카지노
카지노사이트
태양성카지노
트럼프카지노
카지노사이트추천
카지노사이트주소
모바일카지노